결정수

geo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글 색인으로 돌아가기 영어 색인으로 돌아가기 백과사전:거 로 돌아가기



결정수 {結晶水} <결정수> (water of crystallization)

정의

물질의 결정 속에 일정한 화합비로 들어 있는 물을 말한다. 결정 내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양이 변하면 결정구조가 달라진다. 결정 내 물 분자의 위치 또는 결합 정도에 따라 배위수, 격자수, 구조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결정 내의 결합상태나 구조에 따라 ① 결정 내에서 일정한 위치를 차지하며 그 결정격자의 안정화에 필요한 물로서, 그 양이 변하면 결정구조가 달라지는 것, ② 물 분자 내의 공간을 채우고 있으나 가열·탈수시켜도 결정구조가 본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제올라이트수로 구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①의 경우를 결정수라고 하고, ②의 경우인 제올라이트수는 좁은 의미의 결정수에는 포함하지 않는다.

①의 경우에는 결정 내 물 분자의 위치 또는 결합 정도에 따라 배위수, 격자수, 구조수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배위수 : 황산니켈 ·7수화물 NiSO4·7H2O의 결정 구조를 보면[Ni(H2O)6]2+으로서 니켈 이온에 6개의 물 분자가 산소에 의해 배위결합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 나머지 1개의 물분자는 수소결합에 의해 음이온인 황산 이온과 결합되어 있는데, 이를 음이온수(결정수)라고 한다. ㉡ 격자수 : K2HgCl4·H2O의 결정 내 물 분자와 같이, 배위결합하지 않고 결정격자의 공간을 채우기 위해 일정한 비율로 존재하는 것이다. ㉢ 구조수 : 물 분자로서 들어 있지는 않으나 가열하면 물 분자 H2O로서 탈수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베마이트 Mg(OH)2를 들 수 있다.

Flypeople 14:36, 30 March 2009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