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석고

geowiki
최윤호 (토론 | 기여)님의 2012년 2월 12일 (일) 11:47 판 (새 문서: {{Link_index2|거}} <br /> {{Infobox_mineral |광물명= '''경석고 {硬石膏}, <무수물>, (anhydride)''' |그림= |화학식= CaSO<sub>4</sub> |광물군= |고용체= |불순...)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한글 색인으로 돌아가기 영어 색인으로 돌아가기 백과사전:거 로 돌아가기


경석고 {硬石膏}, <무수물>, (anhydride)
[[Image:|thumb|center|240px]]
화학적 성질
화학식 CaSO4
광물군
고용체
불순물
물리적 성질
광 택 유리광택 또는 진주광택
투명도 투명 또는 반투명
백색, 때로 회색, 청색 ·자주색 ·분홍색
조흔색 백색
경 도 3.0~3.5
점착성
쪼개짐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여 3방향으로 완전
깨 짐
밀 도 2.90~2.99
결정학적 성질
결정계 사방정계
정 족
공간군
축길이
단위포함량
겉모양 괴상(塊狀) ·섬유상 ·입상(粒狀)
쌍 정
광학적 성질
광 축
굴절율
요 철
다색성
간 섭
산출상태 및 기타
동의어 : 무수석고. 무수의 황산칼슘 광물.

염산에 녹으며, 물을 흡수하면 석고가 된다. 또 가열하면 1,450 ℃에서 녹는다. 결정수(結晶水)를 갖고 있지 않아 석고(石膏:수분이 포함된 상태로 변화된 광물)와는 화학적으로 구별된다. 텍사스-루이지애나 암염(岩鹽) 돔의 덮개암처럼 석고를 수반하는 암염 광상(鑛床)에서 가장 흔히 발견된다.

이탈리아 롬바르디아의 불피노에서 산출되는 변종(變種)인 석고옥처럼 세립질이나 인편상(鱗片狀)집합체를 형성하기도 한다. 증발광상(蒸發鑛床)에서 가장 중요한 광물의 하나이며, 백운석과 석회암 내에도 존재하고, 광맥(鑛脈)에서는 맥석광물(脈石鑛物)로 존재한다. 경석고는 회석고와 시멘트에 사용된다. 석고옥은 자르고 연마되어 장식품으로 사용된다.

쏘니 03:07, 22 September 2009 (U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