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토규산염"의 두 판 사이의 차이

geowiki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필로규산염의 분류)
(개 요)
27번째 줄: 27번째 줄:
 
== '''개  요''' ==
 
== '''개  요''' ==
  
필로규산염(Phyllosilicates)은 고대 그리스어로 '나뭇잎'이라는 뜻의 φύλλον(phýllon)에서 유래되었으며, SiO<sub>4</sub>사면체가 2차원 평면상에 평행하게 결합한 형태로 존재한다. 판상으로 늘어선 형태로 인해 Sheet silicate라고도 불리며, 위 아래로 연결된 판과 판 사이는 일반적으로 반데르발스 결합으로 연결되어 쉽게 쪼개지는 성질이 있다. 규소와 산소의 결합비율은 1:2.5이며, 모든 필로규산염 광물은 수화되어 OH기를 포함하거나 H<sub>2</sub>O를 함유하고 있다. 필로규산염 광물은 사면체로 구성된 tetragonal layer(T-layer)팔면체로 구성된 octahedral layer(O-layer)가 결합하여 형성되며, 팔면체를 구성하는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필로규산염 광물의 분류는 T-layer와 O-layer의 결합비와 O-layer를 구성하는 양이온의 종류에 따라 결정된다. T-layer와 O-layer가 1:1로 결합한 경우 TO-layer silicate minerals라고 하며, 1:2로 결합하면 TOT-layer silicate minerals로 칭한다. 또한 O-layer에 2+ 이온으로 구성될 경우 전기적 중성을 이루기 위해 O-layer의 단위체 3개가 모두 채워진 삼팔면체층(trioctahedral sheet)을 이루며, 3+ 이온으로 구성되면 단위체 3개 중 2개만 채워져도 전기적 중성을 이룰 수 있어 이팔면체층(dioctahedral sheet)로 구성된다. 따라서 어떠한 결합방식을 갖는지를 기준으로 필로규산염을 구분하며, 대부분의 점토광물은 필로규산염에 해당한다.
+
텍토규산염(Tectosilicates)은 고대 그리스어로 '지붕'이라는 뜻의 τέγος(tégos)에서 유래되었으며, SiO<sub>4</sub>사면체의 모든 꼭지점이 다른 SiO<sub>4</sub>와 결합하여 3차원 공간에서 망상으로 결합한 형태를 보인다. 3차원 망상구조를 갖기 때문에 Framework silicate라고 불리며, 지각을 구성하는 모든 규산염 광물 중에서 약 75%를 차지한다. 규소와 산소의 결합비율은 1:2이며, 규소와 알루미늄의 치환관계나 결합한 양이온의 종류, 물분자의 작용 등에 따라 광물을 분류한다. 알루미늄의 치환 없이 규소와 산소만으로 결합한 것을 석영(quartz)이라 하며, Si<sup>4+</sup>와 Al<sup>3+<sup>가 치환하여 양이온이 추가적으로 결합하면 장석(feldspar)된다. 장석 중에서 이온 반지름이 큰 알칼리 원소가 다량 함유될 경우에는 장석의 구조가 뒤틀리면서 준장석(feldspthoid)를 형성하며, 규소와 알루미늄의 치환과 함께 격자구조 내에 물분자가 들어가면 불석(zeolite)로 분류한다.
  
 
=='''텍토규산염의 분류'''==
 
=='''텍토규산염의 분류'''==

2023년 2월 27일 (월) 20:16 판

한글 색인으로 돌아가기 영어 색인으로 돌아가기 백과사전:피 로 돌아가기


텍토규산염,{},<>,(Tectosilicates)


규산염 광물(Silicate minerals)
네소규산염
(Nesosilicates)
소로규산염
(Sorosilicates)
사이클로규산염
(Cyclosilicates)
이노규산염
(Inosilicates)
필로규산염
(Phyllosilicates)
텍토규산염
(Tectosilicates)
Neso.png
Sorosilicate.png
Cyclo.png
Ino.png
Phyllo.png
Tecto.png


개 요

텍토규산염(Tectosilicates)은 고대 그리스어로 '지붕'이라는 뜻의 τέγος(tégos)에서 유래되었으며, SiO4사면체의 모든 꼭지점이 다른 SiO4와 결합하여 3차원 공간에서 망상으로 결합한 형태를 보인다. 3차원 망상구조를 갖기 때문에 Framework silicate라고 불리며, 지각을 구성하는 모든 규산염 광물 중에서 약 75%를 차지한다. 규소와 산소의 결합비율은 1:2이며, 규소와 알루미늄의 치환관계나 결합한 양이온의 종류, 물분자의 작용 등에 따라 광물을 분류한다. 알루미늄의 치환 없이 규소와 산소만으로 결합한 것을 석영(quartz)이라 하며, Si4+와 Al3+가 치환하여 양이온이 추가적으로 결합하면 장석(feldspar)이 된다. 장석 중에서 이온 반지름이 큰 알칼리 원소가 다량 함유될 경우에는 장석의 구조가 뒤틀리면서 준장석(feldspthoid)를 형성하며, 규소와 알루미늄의 치환과 함께 격자구조 내에 물분자가 들어가면 불석(zeolite)로 분류한다.

텍토규산염의 분류

  • 석영의 동질이상과 변종(Polymorphism and varieties of quartz)
    • 석영의 동질이상(Polymorphism of quartz) - SiO2
      • 석영(Quart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