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운모"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새 문서: == 금운모 (phlogopite , 金雲母) == 화학성분 : KMg3(AlSi3)O10(F,OH)2 <br /> 색 : 갈색, 황갈색, 적갈색 등 <br /> 광택 : 밑면은 진주광택 또는 아금속광...) |
(차이 없음)
|
2013년 3월 4일 (월) 15:46 판
금운모 (phlogopite , 金雲母)
화학성분 : KMg3(AlSi3)O10(F,OH)2
색 : 갈색, 황갈색, 적갈색 등
광택 : 밑면은 진주광택 또는 아금속광택
굳기 : 2.5∼3
비중 : 2.78~2.85
특징 : 흑운모에 가까우나, 플루오린이 많고, 철은 거의 없다. 판상 또는 주상이다. 밑면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고, 탄성이 강하다. 금홍석을 함유하기도 하여 별 모양의 6사광채가 나타나기도 한다. 내화재, 전기절연체로 사용된다. 석회암 또는 고회암과 화성암과의 접촉부에 투휘석, 회철휘석, 투각섬석 등과 함께 산출된다. 캐나다, 미국, 핀란드, 노르웨이 등에서 대량으로 산출된다. 한국에서는 함북, 황해 등에서 산출된다.